[Ubuntu]우분투 가상호스트 설정

 

가상호스트란?

웹서버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는 호스트를 주호스트라고 하며, 그 이외의 나머지 호스트를 가상호스트라고 한다. 주호스트와 별도로 홈디렉토리를 가진 여러개의 가상호스트를 적절하게 이용하여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개의 웹 사이트를 서비스할 수 있다. 

이 글에서는 가상호스트를 생성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, 순서대로 따라하다보면 가상호스트를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.

 

 계정생성

 

 디렉토리 생성

 

원하는 위치에 가상호스트로 사용 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.(예를들어, 테스트 시 var 아래에 생성)

 

 사용법

 

# adduser [옵션] 계정명

ex) adduser --home /var/test1 test1 -> var/test1 위치에 test1이라는 계정생성 

 

 옵션

  

 

 포트설정

 

아래 소스와 그림을 참고하여 port.conf 또는 apache2.conf에 추가하면 된다.

같은 IP에 여러 포트에서 서로 다른 도메인을 서비스 할 때, NameVirtualHost에 포트를 정의해야 한다. NameVirtualHost [ip]:[port] 없이 <VirtualHost name:port> 혹은 Listen만 사용해서는 안된다. 또한 ip 대신 *을 사용하여 서버가 모든 주소에 동일하게 동작하게끔 할 수 있다.

 

Listen 80
NameVirtualHost *:83

Listen 83
Listen 84

 

<IfModule ssl_module>
        Listen 443
</IfModule>

<IfModule mod_gnutls.c>
        Listen 443
</IfModule>

 

 

 가상호스트 설정

 

/sites-available/000-default.conf 에 가상호스트를 추가하고 아래 밑줄 친 부분들을 변경 및 추가해준다. 83번 포트에 가상호스트를 돌리기 위한 설정 부분이다.

 

ServerName : 가상 호스트의 도메인 명

ServerAdmin : 가상호스트 관리자 Email주소, 홈페이지 에러가 출력되면 관리자한테 메일이 보내짐

DocumentRoot : 가상호스트의 홈페이지 웹문서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위치

 

 

 

또한, Forbidden You don't have permission to access /dir/ on this server 에러 발생 시 접근권한으로 인한 문제 임으로 아래 코드를 함께 추가해주어야 한다.


<Directory /var/www/>
        Options Indexes FollowSymLinks MultiViews
        AllowOverride None
        Order allow,deny
        allow from all
 </Directory>

  

 포트열기 = 방화벽열기

 

sudo ufw allow 80/tcp

 

 아파치 재시작

 

service apache2 restart

 

재시작 후 해당 가상호스트의 디렉토리에 파일을 하나 만든 후 실행 되는 지 테스트를 해본다. 아래 그림은 83번 포트에 가상호스트를 돌린 후 코드이그나이터를 설치하여 화면에 띄운 최종화면이다. 주소에 보면 localhost:83  것을 볼 수 있다.

 

 

윈도우와 JSP 환경에서의 가상호스트 설정방법은 각각 다르기 때문에 옵션이나 문법을 암기하기 보다는 필요한 설정과 방법을 익히고 전체적으로 돌아가는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(누군가의 말씀~ㅎㅎ) 

 

'IT.info > 서버환경구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VirtualBox 에러사항  (0) 2015.11.16

+ Recent posts